Agile 과정 안내
교육 목적
- 1 Agile 프로세스의 개념과 원리를 이해하여, 전통적인 프로젝트 방법론과 함께, Agile 프로세스와 기법을 프로젝트에 적용할 수 있다.
- 2 Agile 프로세스와 기존의 프로젝트관리 방법과의 장,단점을 설명할 수 있다.
- 3 Agile 프로세스를 프로젝트팀 내, 기업 조직 전체에 전파하고, 멘토링을 수행하여, 전사에 적용할 수 있다.
- 4 Agile 프로세스의 Best Practice를 수행하여, 기업에 맞는 최적의 프로세스를 수립, 적용할 수 있다.
- 5 Agile 조직에서 프로젝트관리자, SCRUM Master, PO, Developer, QA, UX/UI 각 구성원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.
- 6 멘토링 중심으로 애자일팀과 미팅 및 토론에 적극 참여, 리딩할 수 있어야 한다.
강의일정
1일차 (09 ~ 18)
과정소개 | 목표 | 내용 | 시간 | 수업방식 |
---|---|---|---|---|
소개 | 목표 공유 | 과정목표 소개, Ice Breaking | 0.5 | 강의 |
애자일 소개 | 개념 이해 | Agile 프로세스란 무엇인가? | 1.5 | 강의 |
Agile 주요 지식 | 지식 공유 | Agile 과 일반방법론의 비교 상세 설명 | 1.5 | 강의와 토론 |
Agile 유형 | 유형 이해 | Agile 종류와 기법을 통해, 장단점 설명 가능 | 0.5 | 강의 |
SCRUM 전사 적용실무 실습 | 능력, 성숙도 | 스크럼 기반의 이론과 실습 | 전체(8) | 강의와 실습 |
Product Backlog | 능력, 성숙도 | 조직구성, Backlog 준비 및 미팅, 기획서 작성 | 2 | 실습 |
User Story | 능력, 성숙도 | User Story 작성 | 1 | 실습 |
2 일차 (09 ~ 18)
과정소개 | 목표 | 내용 | 시간 | 수업방식 |
---|---|---|---|---|
Sprint Review | 능력, 성숙도 | Sprint Review Meeting | 1 | 실습 |
Story Point 산정 | 능력, 성숙도 | Story Point 산정,작업 현황판 작성 | 1 | 실습 |
Sprint Review | 능력, 성숙도 | Sprint Review Meeting | 1 | 실습 |
Daily SCRUM Meeting | 능력, 성숙도 | Daily SCRUM Meeting | 1 | 실습 |
Sprint Review 미팅 | 능력, 성숙도 | 회고 미팅 수행(데모 수행)(사전 숙제 요청) | 1 | 실습 |
회고 미팅 | 능력, 성숙도 | 회고 미팅 수행 | 0.5 | 실습 |
Agile 기반 사례 | Reference | ‘T’ 적용 사례 | 1.5 | 실습 |
전사적용 방안 | 모델 선택 | 적용 방안 및 고려사항 | 1 | 강의와 토론 |
자격증 소개 | 능력개발 | 자격증 소개 | 0.2 | 강의 |
Q&A | 마무리 | - | Q&A |
Agile Process 선택 주요 원인

Agile 소개
Agile Process is a group of development methods in which requirements and solutions evolve through collaboration between self-organizing, cross-functional teams.
키워드: self-organizing, cross-functional teams

Agile Practice 실습 진행(8H)

최적화된 애자일 조직 모델 수립(각 사에 맞는 모델 적용)
플랫폼까지 분할 적용하여 Micro-Service Architecture 구축
API로 서로 다른 서비스를 연계하고, DB 등 분리 수행하는 마이크로 서비스 아키텍처

애자일 과정 마무리
- Milestone으로 이항목을 넣고, 필요한 산출물의 조율하여, 낭비 사전 제거작업
- 강의자료에 있듯이, 필요한 애자일 실천항목도입(스프린트, Daily Meeting 등)하여, 프로젝트에 적용함.
- 계약방식은 고정가계약방식으로 수행
- SCRUM을 기반으로 강의 시간에 적용한 Practice 기반 100% 수행
- 계약방식은 고정가계약보다는 Time&Material 방식을 추천함(M/M 계약)